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5

국제무역과 국제통상의 차이 - 2. 국제통상의 범위 확장 이전 글에서 국제통상은 국제무역(상품과 서비스 거래)을 하는데 있어 발생하는 모든 행위에 대한 조건과 상황을 고려하는 개념이라고 소개했다. 이번 글에서는 국제통상을 하나의 학문으로 바라보자. 국제무역이 세계시장에서 이루어지는 상품 및 서비스 가격에 따른 수요 공급 활동에 대한 경제학적 논의를 하는 학문이라면, 국제통상은 시장원리로 발생하는 재화 거래에 가격 변화를 야기하는 환경(외부적 요인)에 대한 논의를 포함하는 학문이다. 무역활동을 경제학 이론으로 해석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국가 간의 정치적 및 전략적 상호관계(미-중 기술패권), 국제규범(WTO), 새로운 재화(데이터)의 발생과 같은 국제무역 행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외부적 요인을 함께 연구하는 학문인 것이다. 최근 국제통상이 다루는 논의의 범위.. 2021. 9. 1.
국제무역이론 이야기 - 1. 이론의 발전 (1세대~3세대) - 1세대 이론 국제무역이론은 무역발생과 무역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이며, 크게 아래 3가지 질문에 대답을 하기 위해 발전되어오고 있는 현재 진행형 이론이다. 1. (무역을 하는 이유) 우리는 왜 무역을 할까? 2. (무역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익) 우리가 무역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익은 무엇일까? 3. (무역이 소득분배에 미치는 영향) 무역은 우리 모두를 이롭게 하는가? 무역을 하면 누가 이익을 보고, 누가 손해를 보는가? 1세대 이론에서 3세대 이론까지 발전해온 것은 과거에 대답하지 못했던 무역현상에 대한 새로운 대답을 찾아냈기 때문이다. 새로운 이론은 어떤 새로운 해답을 제시하고 있는지 함께 알아보자. 1세대 국제무역이론 - 1세대 국제무역이론: 시작은 데이비드 리카도의 비교우위론(comparative adv.. 2021. 8. 12.
통계모형 이야기 - 1. 중력 모형(Gravity model) - ① 기본 개념 중력모형(Gravity Model) 국제무역의 패턴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모형으로 양국간 무역규모가 경제규모 및 거리, 인구 등의 지리적 요인을 바탕으로 결정됨을 보여주는 모형이다. 예를 들어 OECD 국가들간의 무역패턴 또는 비OECD국가들간의 무역패턴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중력모형의 기본변수는 GDP, 인구 및 거리로 무역을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 1) 기본 모형 모든 경제를 각각의 독립된 유기체 덩어리로 간주하여 각 유기체간의 교역패턴(인력)이 경제규모(질량) 및 거리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가정을 기초로 쌍무적 교역규모 및 형태를 예측하는 모형이다. 두 물체가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두 물체간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뉴턴의 물리학 .. 2021. 8. 10.
통계자료 이야기 - 5. 디지털 무역 제한 지수 (Digital Trade Restrictiveness Index) 디지털 무역 제한 지수 (DTRI Index) 유럽국제정치경제센터(ECIPE)는 디지털 무역을 제약하는 전 세계 64개국의 디지털 무역 정책을 취합하여 이를 지수화한 디지털 무역 제한 지수(DTRI)를 2018년 발표했다. 0부터 1까지의 값을 가지며 0에 가까울수록 디지털무역정책이 개방적이고 1에 가까울수록 폐쇄적임을 의미한다. (개방) 0 1 (폐쇄) 위 그래프를 통해 국가별 디지털 무역 정책의 폐쇄(1) 정도와 개방(0) 정도를 비교해볼 수 있다. 한국은 0.31로 64개 국가의 평균인 0.24보다 더 폐쇄적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한국과 디지털 무역을 하는데 있어 외국 기업이 부담하는 무역비용이 높다는 뜻이다. - 가장 폐쇄적인 국가: 중국(0.70), 러시아(0.46), 인도(0.44), 인.. 2021. 8. 6.
통계자료 이야기 - 4. 비공식 경제 (Informal Economy) 비공식 경제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IMF(2021) 정책페이퍼에서는 GDP 측정에 대한 국제적으로 합의된 정의와 방법론에 일치하여 비공식 경제를 측정하는 방법틀을 제안하고 있다. 비공식 경제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비공식 경제는 "비공식 부문에서 발생한 생산(production of informal sector units)과 자체소비를 위한 최종재 생산(production of goods for own final use), 가사노동자의 생산(production of domestic workers), 기업의 비공식 노동에서 발생한 생산(production generated by informal employment in formal enterprises)을 포함"한다... 2021. 6.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