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학 이야기

무역통계 이야기 - 세계은행 통계 사이트 (WITS)

by 가볍고 즐겁게 2021. 12. 9.
반응형

통계사이트 추천

World Integrated Trade Solution, WITS

https://wits.worldbank.org/Default.aspx?lang=en

World Integrated Trade Solution (WITS) | Data on Export, Import, Tariff, NTM

wits.worldbank.org



국가별 무역통계 한눈에 보기(At a Glance)라는 카테고리가 있다.
특정 국가의 무역관련 통계치를 한 눈에 볼 수 있게 요약하여 보여주는 페이지로 간단하게 현황을 파악하기 좋다.
수업 자료로 활용해도 좋을 듯 하다.

예로 중국의 무역현황(2019)을 보여주는 페이지를 함께 보자.


수출과 수입을 간략히 비교하는 표를 보며 직관적으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출 규모, 수출상품의 개수, 수출대상국의 수 ↔ 수입 규모, 수입상품 개수, 수입대상국의 수

수출 및 수입하는 국가의 수는 215개국으로 동일하고, 수출 규모가 수입 규모 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출품목과 수입품목은 각각 4,423개, 4,425개로 수입품목이 2개 더 많지만 수출규모가 크다는 것은 수입품목에 비해 더 경제성(판매가격이 높은) 있는 상품을 수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의 주요 무역대상국은 2019년 기준 1. 미국(16.75%), 2. 홍콩(11.29%), 3. 일본(5.73%), 4. 한국(4.44%), 5. 베트남(3.92%)이라고 나와있다.
홍콩이 2위인 이유는 중국 내륙에서 제조한 상품을 홍콩을 통해 우회수출(대부분을 미국으로)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작년 2020년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심화되며, 미국이 홍콩의 특별무역지위를 박탈하겠다는 움직임이 있었다.
홍콩의 특별무역지위가 박탈된다는 것은 홍콩 수출품이 중국의 수출품과 동일하게 대우받게 되는 것으로 관세혜택을 받고 있던 홍콩 상품이 비싸지고, 홍콩에서 자유롭게 거래되던 투자와 기술무역 등이 제재를 받게 된다는 의미이다.
가격 상승으로 인해 무역경쟁력이 약화되고, 자유롭게 거래되던 투자와 기술무역 등이 막히면 해외투자자와 해외기업들이 다른 투자처와 거래처를 찾게 될 수 밖에 없다.

WITS 사이트의 At a glance 페이지를 통해 간단하게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손쉽게 무역관련 통계를 확인할 수 있는 WITS 사이트를 추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