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이상림 & 노남진. (2021). 세계 천연가스 시장 구조변화에 대응한 천연가스 산업경쟁력강화방안 연구(3/3).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1-185.
이 보고서는 '세계 천연가스시장 구조변화에 대응한 천연가스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연구'의 3차 연도 연구이다.
현재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에너지전환이 큰 화두이다. 에너지전환 기조 하에서 천연가스의 중장기적 역할정립에 관한 다양한 시각을 검토하고, 주요국 천연가스 산업 관련 정책 사례 조사를 통해 국내 천연가스 산업 부문별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세계 천연가스 시장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LNG(liquefied natural gas, 액화천연가스) 수급 상황을 검토한 결과,
- (공급) 최근 미국과 호주의 LNG 공급량 증대가 시장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수요) 석탄의존도 감축정책 및 대기오염 개선 활동으로 인해 중국의 천연가스 수요 증가세가 가장 두드러진다.
중국은 천연가스 보급 확대 정책으로 1~2년 내에 세계 최대의 천연가스 수입국이 될 전망이며, IEA는 2023년 중국의 천연가스 수입의존도가 45%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세계 1위의 LNG 수입국인 일본은 자국 내 전력소비량 감소, 원자력발전소 재가동, 재생에너지 증가 등으로 인해 LNG 수입이 2014년 피크에 도달한 이후 감소세로 돌아섰다. 하지만 여전히 세계 최대의 LNG 수입국으로서 공급선 다변화와 계약조건의 유연화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유럽 지역 또한 신규 LNG 수입국들의 가세와 함께 LNG 수입량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로 나타났다. 2019년 유럽 지역의 LNG 수입량은 전년 대비 약 43% 증가하여 59백만 톤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EU 국가가 천연가스 수입선 다변화 및 수입방식의 다각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경우, EU 국가의 LNG 수입량은 2040년까지 2016년 대비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8년 7월 우리나라 정부는 「2030 온실가스 감축로드맵 수정안」을 발표하였는데,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화석연료 중 상대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은 천연가스가 앞으로 상당 기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204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최대 35%까지 확대하고 기저설비인 원자력과 석탄발전의 감축을 명시하고 있으며, 향후 수립 될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관련하여 최근 5개 발전자회사는 약 8,000MW 규모의 석탄발전소를 가스발전소로 대체하는 의향을 나타낸 바 있기에 중장기적으로 국내 에너지믹스에서 천연가스의 역할은 지속 확대될 전망이다.
천연가스 시장구조 유연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경쟁적 도매시장 형성이 중요한 선결과제이다.
제도적 및 구조적 개선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고 있다.
- (제도) 천연가스 시장 규제 완화, 공급설비와 판매 활동의 분리, 도매 가격 규제 철폐를 이끌어 낼 필요가 있다.
- (구조) 충분한 규모의 공급설비 및 제3자 접속 제도 구축, 다수의 공급자 및 구매자 공존, 재정·운영적 위험 부담을 지원하는 금융기관의 참여를 달성할 필요가 있다.
* 참고자료: 천연가스에 대한 설명 - 비전통 가스 및 LNG 설명
- 비전통가스의 종류: 셰일가스(Shale Gas), 치밀가스(Tight Gas), 석탄층 메탄가스(CBM, Coal Bed Methane), 가스 하이드레이트(Gas Hydrate)
- LNG : LNG는 천연가스를 정제하여 영하 162℃로 냉각시켜 액화 상태로 해상 수송한 후 기화시켜 가스로 공급하는 것으로, 가스를 냉각시켜 액화시키는 것은 부피가 600분의 1로 감소하여 효율적인 운송이 가능함. LNG는 해양 수송이 필요한 한국, 일본, 대만에서 활용되고 있음.
- 천연가스는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 유통 형태에 따라 PNG와 LNG로 구분함. PNG는 Pipeline Natural Gas로 채취한 천연가스를 소비지까지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공급하는 가스로, 육상 수송이 가능한 유럽, 북미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활용되고 있음.
SK E&S
SK E&S는 Global Major 친환경 에너지 기업를 향해 도약합니다.
www.skens.com
'국제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상 현안 모니터링 - 미국, 강경한 대중국 무역 정책 유지 시사('21.10.05.) (0) | 2021.10.06 |
---|---|
산업정책 - 탄소중립과 한국 천연가스정책 (0) | 2021.10.06 |
보고서 요약 - '최근 주요국 수입구조 변화와 우리 수출 경쟁력 분석' (무역협회, 2021) (0) | 2021.10.05 |
통상 현안 모니터링 - 중국의 CPTPP 가입 추진 (2021.9.16) (0) | 2021.10.01 |
통상 현안 모니터링 - 반도체 공급망 관련 (2021.9.30) (0) | 2021.10.01 |